컴퓨터 네트워킹 : 네트워크 엣지(network edge)

▶ 네트워크 엣지(Network edge)

* 네트워크의 요소를 분해하면 (network) edge, access network, (network) core가 있다.

네트워크 엣지(network edge): 말단 시스템. Client(PC, 노트북...)와 Server가 있다.

접속망(access network): end-system들을 다른 end-system까지 연결하기 위한 경로의 첫 번째 라우터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wired/wireless 커뮤니케이션 링크로 나뉜다.

Access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Residential, institutional, mobile 등으로 나뉜다.

네트워크 코어(network core): 라우터들의 연결망. 인터넷(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 접속망(Access network)

DSL(Digital Subscriber Line): 전화국(central office)의 DSLAM을 통해 전화선(telephone)으로 인터넷 연결(데이터)을 지원받는 것

케이블 네트워크: FDM(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통한 구별)을 이용. 해당 접속망은 여러 가정에서 공유됨.

홈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접속망(이더넷): 오늘날 흔히 사용. 회사, 대학교 등에서 주로 이용.

무선 액세스망(WAN, Wireless access networks): 무선으로 end-system과 라우터가 연결되게 함

▶ 전송지연(Transmission delay)

* Host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한다.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segment로 분할되어 packet(임의의 사이즈. 1,2(k byte))으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 패킷 전송 지연 == L-bit의 패킷을 R의 transmission rate로 전송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 == L/R

▶ 물리적 매체(Physical media)

* 두 지점 간 통신을 위해 실제로 연결된 매체. 유도 매체(guided media)와 비유도 매체(unguided media)가 있다. 전자는 signal이 어디로 갈지 인도하고, 후자는 인도하지 않는다.

* 유도 매체는 solid 형태이다. 아래 세 개(꼬임 쌍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이 해당.

꼬임 쌍선(Twisted pair, TP) : 10Mbps에서 10Gbps 정도의 데이터 전송률을 가진다.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signal로 전기를 전송. 전자기파가 바깥으로 나가지 않도록 감싸진 형태. 양방향 signal 전달이 가능.

광섬유 케이블(fiber optic cable): signal로 빛(light)을 전송. 동축 케이블보다 빠르고 error가 적다.

* 그렇다고 무조건 광섬유 케이블이 좋은 것은 아니다. 방해물에 의해 빛이 물체를 통과하지 못할 수도 있고, 주파수가 같은 경우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에 의해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라디오 회선(radio link): unguided media. 마이크로웨이브, LAN, 인공위성(45Mbps)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