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현재 일부 API는 요청으로 들어오는 request data와 응답으로 반환되는 json의 네이밍 컨벤션으로 snake case를 채택하고 있다. 최근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는 oauth2 스펙을 준수한 API들의 지원이 있었는데, 이러한 snake case 변수명들이 Java 코드에까지 침투하도록 두고 싶지는 않았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jackson의 ObjectMapper의 직렬화/역직렬화 단계에서 카멜 케이스와 스네이크 케이스의 자동 변환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JsonNaming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왔는데, 최근 유사한 이슈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려 했지만 동작하지 않았던 경험이 있어 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RequestBody의 Snake Case 매핑@G..
이 글은 유데미 강의 ‘Java 멀티스레딩, 병행성 및 성능 최적화 - 전문가 되기’ 의 쿠폰을 받아 수강하고 작성한 글입니다. 멀티스레딩? 하나의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가질 수 있다. 프로그램들은 때에 따라 단일 스레드로 동작하기도, 여러 스레드로 동작하기도 한다. 멀티스레딩이란, 말 그대로 하나의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스레드를 사용하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이번 글에서는 멀티스레딩에 대해 아래와 같은 점들을 살펴본다. 단일 스레드 프로그램의 단점 멀티스레딩의 이점 멀티스레딩을 도입할 때 유의할 점 단일 스레드와 멀티 스레드 프로세스를 카페, 스레드를 점원에 비유해 점원이 한 명인 카페와 여러 명인 카페의 운영 방식을 상상해보자. 점원이 한 명인 카페의 문제점 먼저 한 ..
이펙티브 자바란? 자바 개발자의 필독서라고 불리는 책. 자바의 기본 문법에 대해 다루기보다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면 좋을지에 대한 가이드를 해 주는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의 문법에 대해 다루는 책보다는 난이도가 있는 편으로, 나 역시 첫 번째 시도 때에는 초반부를 읽다가 어려워서 책을 덮고 현업에서 일한지 만 1년이 다 되어가는 이 시점에서야 1회독을 한 책이다. 또한, 책 구성도 그러하고 저자 역시 권장하듯 순서대로 읽지 않고 원하는 아이템을 먼저 읽어도 되며, 다회독을 하는 것도 좋아 보인다. 나 역시 1회독에는 순서대로 읽으며 카테고리별 팁을 얻는 데에 집중했고, 2회독부터는 미리 정리해둔 요약집을 기반으로 그때그때 필요한/흥미가 가는 내용들을 골라 읽을 예정이다. 이..
드디어 가상 스레드가 도입된 Java의 새 LTS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Java 21의 주요 변경점들을 정리해보았다. Java 21? 2021년 출시된 Java 17 이후 2년만에 출시된 Java의 4번째 LTS(Long Term Support) 버전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Sequenced Collections Virtual Thread Record, Switch 개선 1. Sequenced Collections 기존 컬렉션은 순서를 다루기 불편함 기존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컬렉션 내 원소들에 순서가 존재할 때 사용되는 문법이 제각각이고, 일부는 가독성도 좋지 않았다. 예를 들어, List 인터페이스의 첫 번째와 마지막 원소 접근 코드는 아래와 같다. List wordList = ..
Introduction 최근에 Python으로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하다가, Java로 코딩 테스트를 준비할 일이 있었다. 준비를 위해 Java에서 주로 사용되는 알고리즘 문제 풀이 문법을 정리하다가 의문점이 생겼다. 왜 자바는 정렬을 array.sort()가 아닌 Array.sort(array)로 지원하는 걸까? 내장 함수 vs 스태틱 함수 보통 Python 등의 언어에서는 정렬 등의 동작이 객체 내부 함수를 통해 이루어진다. list = [3, 1, 4, 5, 2] list.sort() print(list) # [1, 2, 3, 4, 5] 그러나 Java에서는 배열/리스트를 다루는 클래스에서 static 함수로 정렬 기능을 제공한다.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