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자주 사용하는 배치 방법

 

CSS의 구조

css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selectornode라고 부른다.

 

selector { property : value; }

 

이 글에서는 구조에 명시된 순서대로 css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selector의 종류

html의 태그의 종류, 태그에 부여된 idclass의 이름, html 간 계층적 구조에 의해 하나의 html 태그라도 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selector 표현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selector 표현에 대해서만 정리해 보기로 한다.

 

  • 태그 이름: tagName { }
  • 클래스: .className { }
  • 아이디: #idName { }
  • 자식 (바로 한 계층 아래만): parent > child
  • 자손 (하위 계층을 모두 포함): ascendant descendant
  • 자손의 id 또는 class ascendant(# or .)descendant
  • N번째 자식: selector:nth-child(N)
  • 특정 타입을 가진 태그: input[type="submit"]
  • 특정 태그를 제외: selector:not(tag)

Property의 종류와 컨벤션

전체적으로 외부->내부 순서로 기입하는 추세인 것 같다.

 

컨벤션은 NHN 컨벤션을 참조했으며,

 

Property에 대한 설명은 다음 사이트를 참고했다.

[https://ofcourse.kr/css-course/display-%EC%86%8D%EC%84%B1](https://ofcourse.kr/css-course/display-%EC%86%8D%EC%84%B1)

 

  1. display (표시)
  2. overflow (넘침)
  3. float, clear (흐름)
  4. position (위치)
  5. top right bottom left (상대적인 위치)
  6. z-index (상대적인 우위)
  7. width, height (크기)
  8. margin, padding (외부/내부 간격)
  9. border (테두리)
  10. background (배경)
  11. font-color, align (글자 속성)
  12. animation, transform, transition (동작)
  13. 그 외

value의 단위의 종류

  • px: 픽셀
  • em: 부모 태그의 font-size를 기준으로 하는 단위
  • rem: 최상위 태그(보통 html)font-size를 기준으로 하는 단위
  • vw/vh: 현재 브라우저의 너비/높이값
  • vmin/vmax: 너비, 높이 중 작은 크기가 vmin, 큰 크기가 vmax(모바일에서 주로 이용)
  • ex,ch: 글자 수에 영향을 받음. 폰트의 세밀 조정 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