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mission Error Linux OS에서 작업을 해 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 아래 오류를 만나본 적이 있을 것이다. Permission denied. 이는 현재 해당 쉘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해당 파일에 대한 해당 권한이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Linux의 권한 체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Linux의 권한 체계 Linux에서는 파일별로, 사용자별로 권한의 종류별로 권한을 관리한다. 각 권한은 아래와 같이 사용자별(파일 오너, 오너가 속한 그룹, 나머지 사용자들)에 따라 3비트의 2진수로 부여되고 확인할 수 있다. 부여된 권한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ls -l 명령을 이용하면 된다. 위의 파일들은 다음과 같은 권한을 소유한다. rootexecfile: own..
pwd: 해당 디렉토리의 주소 출력 ls: 해당 디렉토리 안의 파일들 출력. 주로 -la를 붙여 씀. -a: 숨김 파일 표시 -l: 상세 정보 표시 -r: 정렬 순서 역순 -t: 파일 작성 시간순 표시 mkdir: make directory. 디렉토리를 생성 ex) mkdir {dirname} rm: remove. 디렉토리를 제거 ex) rm -r {dirname} -r: 지우려는 디렉토리 내 파일도 모두 제거 (r명령은 주로 하위디렉토리 포함을 나타냄) -f: 강제 삭제 (위험) vim: vi(vim) 편집기를 연다. (파일 없을 시 생성 후 실행) ex) vim {파일명}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도 있다. 더보기 a 또는 l을 눌러 수정 ESC를 눌러 수정 종료 :를 눌러 종료 조건 추가 종료 조건: q..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